A380 탑승과 베르누이 정리
파리 여행을 마치고
![]() |
A380 비행기 |
A380과의 만남
파리 여행의 마지막 여정, 샤를 드골 공항에 도착했다. 체크인 카운터에서 예기치 못한 반가운 소식이 들려왔다. 파리행 항공편은 에어프랑스였지만, 귀국 항공편은 공동운항으로 인해 대한항공의 A380 기종으로 변경된 것이다.
꿈에 그리던 A380 탑승이라는 사실에 가슴이 두근거렸다. 파리로 향할 때의 설렘보다 귀국길에 마주한 A380에 대한 기대감이 더욱 컸다.
베르누이와 비행의 원리
비행기 작동 원리에 대한 나의 관심은 고등학교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곰돌이’라는 애칭으로 불리던 물리 선생님은 학급 미화 담당이었던 내게 물리학의 핵심 공식을 담은 자료를 주셨다.
나는 매직 캘리그래피로 그 내용을 꾸며 교실 벽을 장식했다. 비록 ‘영포자’였지만 수학과 물리는 흥미로웠고, 선생님이 주신 자료를 정리하는 일은 즐거움이었다.
특히, 의사이자 물리학자인 베르누이의 이름이 뇌리에 깊이 박혔다. 비행기의 이륙 원리와 야구공 커브의 비밀을 풀어낸 ‘베르누이 정리’는 놀라웠다. 하루빨리 비행기를 타고 그 원리를 직접 느껴보고 싶었다. (실제로는 쥬코프스키 이론)
1989년, 일본으로 직장을 옮기면서 처음으로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노스웨스트 항공의 747 점보 제트기였다. 당시에는 가장 큰 비행기로, 김포공항에서 굉음과 함께 이륙하던 그 순간의 흥분은 지금도 생생하다.
마치 이륙과 함께 내 신분이 상승된 듯한 착각마저 들었다. 하지만 비행기 탑승 자체에 대한 흥분만 있었을 뿐, 베르누이 정리(실제는 쥬코프스키 이론)를 몸소 체험할 수는 없었다. 그 거대한 비행기가 하늘로 날아오르는 모습을 보면서도 이론적 원리를 직접적으로 느낄 수는 없었던 것이다.
이후 여러 나라를 여행하며 여권에 스탬프가 늘어날수록 비행기에 대한 흥분은 무뎌졌다. 마치 해가 뜨고 지는 것처럼 비행기는 당연히 하늘을 나는 기계일 뿐, 특별한 감흥은 없었다.
![]() |
A380 |
A380, 꿈을 현실로
90년대 초, 이라크의 후세인과 걸프전의 긴장이 고조되던 무렵 뉴스를 통해 A380에 대한 소식을 처음 접했다. 747 점보보다 훨씬 크다는 사실에 호기심이 발동했다. 이후 A380 관련 소식은 프로젝트 발표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지켜봤다.
마치 코카콜라와 펩시, 포드와 GM처럼 에어버스 대 보잉의 라이벌 구도와 최첨단 물리과학의 결정체인 A380은 흥미로운 대상이었다. 제작 과정과 시험비행, 상업비행까지 관련된 다큐멘터리를 챙겨보며 2층 구조에 4개의 엔진을 가진, 800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거대한 비행기를 타볼 날을 고대했다. 그리고 마침내, 그날이 오늘이 된 것이다.
예상대로 출국 수속 줄은 길었다. 파리 테러 여파로 수하물 검사는 물론 신체검사까지 강화되었기 때문이다. 특수 약물을 벨트 버클에 묻혀 총기 화약 반응까지 측정하는 모습에서 평소보다 훨씬 오랜 시간이 소요되었다.
다행히 서둘러 공항에 도착한 덕분에 여유롭게 출국 심사를 마칠 수 있었다. 면세점에서 아내 생일 선물을 구입하며 마치 우리나라에 도착한 듯한 편안함을 느꼈다.
A380 내부 탐험
드디어 A380에 탑승하여 복도 좌석에 앉았다. 창가 좌석에는 신혼부부가 자리하고 있었다. 기내식을 마친 신혼부부는 곧장 잠에 빠져들었지만, 나는 A380 탑승의 설렘에 잠이 오지 않았다. 나는 A380의 내부 인테리어를 꼼꼼히 살펴보았다. 화장실까지 구석구석 눈에 담았다.
현존하는 여객기 중 객실 소음이 가장 적다는 A380은 예상대로 좌석과 화장실이 넉넉했다. 묵직한 안정감과 차량으로 비유하자면 훌륭한 승차감은 A380의 큰 장점이었다.
A380의 아쉬운 종말
기내등이 꺼지고 파리 여행의 여독과 맥주 기운에 나도 모르게 잠이 들었다. 3년 후, A380이 더 이상 하늘을 누빌 수 없게 되리라고는 전혀 상상하지 못한 채...
파리 여행 정보
①샤를 드골 공항
파리 관문이자 국제공항으로, 다양한 국제선 항공편이 운항한다. 테러 등의 위험으로 보안 검색이 강화된 곳이다.
②A380 비행기
에어버스사에서 제작한 2층 구조의 대형 여객기로, 많은 승객을 수용할 수 있으며 객실 소음이 적고 안정적인 비행을 제공한다.
2019년 2월. 프랑스 에어버스사에서는 A380 항공기 판매 부진에 따른 단종을 공식 발표했다. 30조 원이 넘는 초대형 장기 프로젝트였지만 상업 비행 14년 만에 콩코드기와 같은 단명의 신세로 전락하고 말았다. A380의 조기 단종 결정은 "콩코드 오류"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한 것 같다. 참으로 아쉬운 뉴스였다.
③베르누이
스위스 출신의 의사이자 물리학자로, 유체 역학의 중요한 원리인 베르누이 정리를 발표했다. 베르누이 정리는 비행기 양력 발생 원리, 야구공 커브 원리 등 다양한 현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글쓴이의 오해로 실제 비행기 양력 원리는 쥬코프스키 이론)